식품인증현황

한울은 위생설비와 과학적인 첨단 자동설비를 통해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다양한 입맛에 맞추기 위해 제품 연구와 개발에 혼신의 노력을 다하며 품질 및 위생 표준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HACCP 인증

  • 한국전통식품 인증

  • 스타팜 인증

  • ISO 9000 인증

HACCP 인증

HACCP는 식품에 해를 끼치는 다양한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식품 안전관리 제도입니다.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의 약자로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식품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 이라 할 수 있으며 ‘햇섭’이라고 발음합니다.

위해 요소란 식품의 원료와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을 포함해 다양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요소를 말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생물학적
위해 요소에는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장염비브리오. 캠필로박터, 리스테리아 등 이름만 들어도 끔직한 세균과 곰팡이, 효모 같은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포함 됩니다.

화학적 위해 요소는 수은, 납, 카드뮴 같은 중금속과 매독, 버섯독 같은 천연 독소, 다이옥신, 잔류 농약 잔류 수의약품, 미승인 첨가물, 알러지 유발물질을 비롯해
기타 공장에서 생성되는 화학 물질을 가리키며 물리적 위해 요소는 금속, 돌, 유리 같은 각종 이물질을 말합니다.

이런 위해 요소들은 사람이 섭취했을 경우 치명적인 해를 끼칠 가능성이 커서 아예 생산 단계에서부터 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HACCP이 바로 그 관리 기준인 셈입니다.

생산 제품의 특성과 공정에 따라 해를 끼칠 수 있는 위해 요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HACCP은 각 제품의 현장에 맞게 특화된 위생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HACCP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 연합은 물론 WHO와 같은 보건 관련 의료 기구들도 모든 식품에 적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는 규격입니다.

HACCP 인증 : 식품의 유형 중 김칫속(양념) 및 소스류는 제외

한국전통식품 인증

한국전통식품 품질인증마크는 우리 농산물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제조방법으로 우리네 고유한 옛 맛을 재현한 식품에 대해 정부가 그 품질을 인증하고 부여하는 마크입니다.

한국전통식품 품질인증을 받으려면 제조 공장이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이 주관하는 12개 항목의 심사를 통과해야 하고 식품을 만드는 방법이 전통적인 방법이어야 합니다. 일단 공장심사가 완료된 후에 식품에 대한 품질 시험도 실시합니다.

최근 농림부는 이 마크의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해 심사를 강화했으며 이에 따라 전통식품 인증마크를 받은 업체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국산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 가공되는 고품질의 제품 생산을 유도하고, 소비자에게는 질 좋은 우리 식품을 공급하는데 목적과 의의가 있으며, 한울은 전통 제63호 품질인증 업체입니다.

– 전통식품 인증 : 맛김치, 백김치, 포기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총각김치

스타팜 인증

스타팜이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인증으로서 친환경/GAP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농장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함께하고 있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선정한 우리나라 친환경농업과 GAP농업을 실천하는 대표적인 농장을 말합니다.

지난 10여간 우리나라 농업의 발전과 안전한 농식품 공급의 근간으로 자리매김한 친환경/GAP농업을 소비자와 농업인이 직접 농장 현장체험을 통해 보다 올바로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리나라 친환경 GAP 농장을 대표할 수 있는 100개 농장을 선정하였습니다.

Star Farm은 친환경/GAP인증을 대표하는 농장으로서 농촌 현장체험 프로그램 운영, 농업인 현장 교육 능력을 갖추고 있어, 앞으로 일반 농가에게 친환경/CAP 농업의

차별성을 널리 알리는 표준모델농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함은 물론, 도시민이 휴식하고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농장으로 활동할 계획입니다.

ISO 9001

SO 9001은 모든 산업 분야 및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 표준입니다. ISO 9001 인증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실현 시스템이 규정된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이를 유효하게 운영하고 있음을 제3자가 객관적으로 인증해 주는 제도로써 다음의 인증취득 효과가 있습니다.

– 조직 성과의 지속적인 개선 및 성과 측정의 도구로 활용
–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최적의 품질시스템 구축
– 조직의 품질 경영 의지 입증
– 품질경영 및 품질보증 시스템 정착
– 품질경영시스템(QMS)의 국제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